주요 프로그램 운영 성과(2016년 5월 현재)
프로그램명 |
정량적 실적 |
정성적 실적(교육효과) |
||||||||||||||||||||||
① GMLP 연계 교과과정 |
■ 교과목 개발 및 수업 운영 |
|||||||||||||||||||||||
|
∙기초공통·전문심화 교과를 통해 가치관 함양 및 전문 지식 습득 ∙이론·실습, 지역·세계의 통합적 교육을 통한 창의적 글로컬 전문성 함양(해외현장실습 등) ∙블렌디드 강좌를 활용하여 수업의 질 제고 |
|||||||||||||||||||||||
|
∙기초공통·전문심화 교과를 통해 가치관 함양 및 전문 지식 습득 ∙이론·실습, 지역·세계의 통합적 교육을 통한 창의적 글로컬 전문성 함양(해외현장실습 등) ∙블렌디드 강좌를 활용하여 수업의 질 제고 |
|||||||||||||||||||||||
■ 다문화 교육용 교재 개발 5건 및 활용 교과목 |
||||||||||||||||||||||||
|
∙다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가치관 함양을 위한 자료 발간 ∙다문화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교재로 구성 실제적 역량 강화 및 사회적 책임의식 고양 |
|||||||||||||||||||||||
■ 교수학습 지원을 통한 수업 질 관리 |
||||||||||||||||||||||||
교수법: 36개 CTL 프로그램/교수 참여 총 65명 학습법: 26개 CTL 프로그램/학생 참여 총 62명 수업개선보고서(11건) 및 교수포트폴리오(7건) |
∙다문화 관련 교과목 운영의 내실화 ∙학생들의 다문화 관련 전공 학습 역량 제고 ∙평가 및 환류 과정 체계화 |
|||||||||||||||||||||||
② 다문화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 |
■ 다문화 현장 이해 및 실무 역량 강화 교육 활동 |
|||||||||||||||||||||||
|
∙다문화 실무자 특강, 언어 및 문화 교육을 통해 다문화 현장에 대한 실제적 이해와 실무 역량 증진 ∙대학원생 튜터링: 대학원생 튜터 |
|||||||||||||||||||||||
■ 국내외 다문화 교육 실습(실습 참여 GMLP 인원) |
||||||||||||||||||||||||
|
∙국내외 각종 교육 지원 프로그램에 교육 및 봉사자로 참여하여 현장·실무 및 글로벌 역량을 증진 ∙현장실무능력을 갖춘 창의적 다문화지도자로서 현장실습과 연수 기회의 확보 |
|||||||||||||||||||||||
■ 다양한 학습경험 제공 및 참여 독려 |
||||||||||||||||||||||||
다문화 행사 및 공모전
참여 마일리지제 운영 ➔ 장학금과 연계 - 장학금 수여: 51명, 25,500천원 |
∙학술제, 영화제, 공모전 등을 통한 다양한 다문화 학습경험 제공 ∙ 학생들의 자기주도적, 참여적 교육을 확대하여 특성화사업의 교육 효과 제고 ∙특성화 프로그램 참여를 마일리지화하여 장학금 수혜와 연계시킴 |
③ 지역·국제 사회 다문화 활동 참여 및 봉사 |
■ 국내외 다문화 교육 지원(교육 수혜자 인원) |
||||||||||||||
|
∙국내외 다문화 교육 현장을 지원함으로써 특성화사업 성과를 사회에 환원 ∙지역사회의 요구를 특성화 사업에 반영하여 현장과 상호작용하는 교육 추구 ∙온라인 교육 자료를 공개·공유하고, 지역 다문화 센터, 전국 대학 도서관 등에 「다문화 리더십」을 배포함으로써 지역 및 세계적 다문화 관련 교육 수요에 부응 |
||||||||||||||
■ 다문화 상담 전문가 과정 개설/운영: 3과정, 63명 |
|||||||||||||||
|
∙다문화상담소에서 주관하여, 다문화에 특화된 상담 실무자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다문화 전문가 수급에 기여 |
||||||||||||||
■ 다문화 가정 대상 교육·상담 지원 |
|||||||||||||||
|
∙학부모교육, 집단상담 프로그램 힐링캠프 등을 통하여 다문화 가정의 치유, 회복을 지원 |
||||||||||||||
■ 다문화 창업 및 취업 지원 |
|||||||||||||||
사회적 기업 다문화 카페‘꿈아시아’공동 창업 및 운영 다문화 관련 창업 특강(3회, 203명) 다문화 창업 동아리 운영 |
∙창업 특강 및 동아리 활동을 통한 다문화 기업 취업 기회 제공 ∙특성화사업을 통한 취·창업의 질 제고 |
주요 프로그램 운영 성과(2016년 5월 현재)
대표프로그램명 |
국제적 연계교육: 해외현장학습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추진 배경 |
핵심역량(기본·전문지식, 현장지향 실무역량, 헌신적 태도)의 종합적 연마가 가능한 학습 경험 필요 현지의 언어와 문화를 학습하고 체험함으로써 다문화 현장에 대한 이해 심화 현지인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을 수행함으로써 다문화 교육 실무 역량 및 상담 능력 강화 현지 교육·봉사를 통해 특성화 교육 성과의 사회 환원과 다문화 감수성·헌신적 태도 고양 이벤트성 행사를 지양하고 현지와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학생들의 해외 취업 및 진로 탐색 기회 제공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주요 내용 및 성과 |
◎ 해외현장학습 프로그램 개요
◎ 사전교육
◎ 해외현장학습 실시
◎ 학습 경험 성찰, 평가, 공유 매일 저녁 당일 수업 및 활동에 대한 자체 평가회 개최 귀국 후 해외현장학습 보고서 및 소감문 작성·제출 「다문화리더십」에 해외현장학습 보고서 및 수기 등의 게재를 통한 학습 경험 공유 ◎ 성과 다문화 실무 역량 인증점수 향상(1차년도 103.4점 ➔ 2차년도 336.6점) 다문화에 대한 인식 전환, 다문화적 자기정체성 확인 국가 간 인적 교류: 해외 인턴십 파견(미국 2명, 태국 1명, 대만1명), 교환학생(필리핀 2명), 현지 학생 국내 유치(태국 3명, 한국어학당 1년 과정 이수) 문화의 국제적 교류와 한국문화 확산의 필요성 인식 타문화권 현지인과의 소통 및 관계 형성 기술 습득 해외취업 및 다문화관련 직업에 대한 긍정적 사고 전환 및 도전의식 고취 |
학생 지원 내용
계획 | 실적(2015년 2월 28일 현재) | 비고 |
---|---|---|
학생 선발 |
∙ 학생확보 위한 재학생 대상 사업설명회 2건 ∙ 입학자원 확보 및 사업단 성과확산을 위한 컨퍼런스 1건 ∙ 방송 출연을 통한 사업단 소개 1건 ∙ 언론 노출을 통한 사업단 홍보 70건 ![]() |
첨부 14 |
학생 양성 |
∙ 장학금 지급: 총 70명/26,068,000원 ∙ 계절학기 교과목 교육비 지원: 총 29명/5,568,000원 ∙ 대학원생 튜터제도 등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 ![]() |
|
진로 및 취업의 질 제고 |
∙ 다문화방과후학교 인턴십: 3개 기관/연인원 340명/680시간 ∙ 힐링캠프 등을 통한 다문화 가정․청소년 대상 상담 실습 ∙ 국내외 다문화 전문가 진로 개척: 3개 기관 MOU 체결 ∙ 다문화콘텐츠 개발 및 문화산업 관련 지원 ![]() |
특성화 전략과 연계한 취업 지원 노력 및 우수사례
프로그램 | 사례(2015년 2월 28일 현재) | 비고 |
---|---|---|
해외현장학습과 인턴십제도를 통한 해외취업 개척 |
∙ 해외취업의 가능성 확보 - 태국 ‘메쑤어이 한·태 교육센터’에서 실시한 해외현장학습에 대한 현지의 높은 만족도로 인해 지속적인 교육협력을 요청 받음 - 태국 메쑤어이 현지에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교 개설을 통한 GMLP 이수학생들의 해외취업 추진 논의 - 태국어 언어연수 심화과정을 개설하여 태국어 능력을 강화하고 이와 더불어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을 병행함으로써 취업의 질 제고 - 대전이주외국인종합복지관과 협력하여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교 개설을 통해 해외현지 취업 가능성 논의 ![]() |
|
다문화관련 창업지원을 통한 취업 진로 개척 |
∙ 청년 창업의 가능성 제고 - 대전이주외국인종합복지관 산하 아시아요리전문점 ‘아임아시아’와 협력관계를 통해 분점 창업에 관해 논의 ![]() |